ji - 외국(동남아)에서 한달 살기에 대한 소소한 팁들, 동남아 각국에 대한 솔직한 코멘트들(19) | |
---|---|
ji***** | 2019-07-06 |
요즘에 외국에서 한달 살기가 트렌드인 것 같은데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해 보려고해. 일단 글쓴이는 - 동남아에서 3년 - 일본에서 4년 - 그외 태국 여행 10회 등 동남아시아 나라 거의 전역을 여행한 경험이 있어. 각자 돈이 생기면 어디에 쓰는가에 대한 기준이 다를 것 같은데, 내 경우에는 20대 때에는 여행을 통해서 견문 넓히기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었기 때문에 저렇게 많이 다녔어. 그렇다 보니까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은 해외에서 살아보기, 해외에서 취업해서 살아보기 일 것 같은데 오늘의 주제인 외국에서 한달 살기에 대해서 적어보려고해. ------- 1. 어디에서 살아볼 것인가? https://teleport.org/ 일단 어디에서 살아볼 것인가를 정해야겠지? 한가지 참고 사항으로써 위에 적은 저 텔레포트라는 사이트를 이용하기를 추천하고 싶어. 자기에게 있어서 중요한 부분들, 예를 들면 렌트비가 싼 곳, 생활비가 싼 곳, 문화적 다양성이 허용되는 곳 등 몇가지 기준들을 선택하면 자신한테 가장 맞는 지역을 선택해서 보여줘. 이건 단순히 한달 살기가 아니라 이민/해외취업/이주를 생각하는 이드녀들에게도 추천하고 싶어. 2. 150~200만원의 저예산이라면 동남아시아를 추천 살아보기 힘든 런던, 파리, 마드리드에서 한달 살기를 여유만 있으면 나역시 해보고 싶은데 150~200만원 사이의 저예산을 가지고 해외 한달 살아보기를 도전하고 싶다면, 다들 그렇게 하듯이 동남아시아에서 살아보기를 추천해. 3. 동남아시아 각국에 대한 코멘트 <필리핀> 어학 연수를 겸해서 필리핀도 많이 나가는것 같은데, 필리핀은 어학연수로 풀스케줄이 있는 상태가 아니라 순전히 자유여행으로 한달 살아보고 싶다면 별로 권하고 싶지는 않아. 말레이시아 사람들도 필리핀이라고 하면 치안이 너무 위험하다고 할 정도이고, 심심치 않게 교민 살인사건 소식을 듣게 되니까 말이야. <말레이시아> 개인적으로 말레이시아에서 2개월 정도 살아본 적이 있는데, 동남아 국가들 중에서는 인건비가 높은 나라라서 돈쓰는 맛에 동남아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이드녀라면 별로 적합하지 않은 나라일 수 있어. 동남아라고 하면 마사지를 받는걸 생각해볼 수 있는데 베트남, 태국과 비교했을 때는 마사지 받는 곳 찾기도 어려운 느낌? 무슬림 나라라서 중국계가 산다고 해도 나라가 보수적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그치만 요즘 한국인 가운데서 말레이시아가 은퇴 이민으로 워낙 유명하니까 답사를 겸해서 많이 간다고 해. 내가 살았을 때는 수영장, 헬스장 딸린 콘도 방 하나를 조호르바루에서 빌렸는데 한달에 30만원을 지불했어. 현지인한테서는 조호루바루에서 방 하나 빌리는데 30만원은 많다는 의견을 받기도 했어. 장점이라면 영어가 가능한 동남아 국가라는 점이 있어서, 언어적인 불편함이 적다는것일거야. 언어적인 자율성 때문에 한국 사람들이 은퇴를 겸해서, 자녀교육을 겸해서 선택하기도 해. * 어쨌거나 동남아에서 한달살기 하면 보통 30만원~50만원 주면 충분할거야. * 예약은 동남아 각국의 유명 교민사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싱가폴 같은 경우에는 한인촌), 에어비앤비가 제일 좋은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 집주인과의 직접 계약이 아니라 중간에서 관리해주는 플랫폼이 있으니까, 내가 집주인과 트러플이 있을 때 (금전적인 부분이나) 중재를 해주는 시스템이라 집주인들이 좀더 책임감 있게 호스팅을 한다고 느꼈어. <베트남> 요즘 한국 사람들에게 베트남이 가장 인기있는 해외취업처 가운데 하나이다 보니까 베트남 다낭, 호치민, 하노이 등지를 많이 나가는데 솔직히 말레이시아, 태국이랑 비교했을 때 낙후되어있다는 걸 많이 느껴. 내 느낌으로는 1990년대를 지나가고 있는 느낌이야. 베트남 쌀국수이며, 월남쌈이며 맛있는 음식이 있다는 것은 장점이고, 오토바이를 주된 교통수단으로 하고 있는데 그래서 매연이 심해. 적어도 주요 수도인 호치민, 하노이는 그렇기 때문에, 렌즈 끼는 언니들은 안경을 끼고 다니는게 좋을거야. 교통 수단은 그랩(Grab)을 이용하면 좋은데, 베트남에서 특징적인게 뭐냐면 자동차 뿐만이 아니라 오토바이도 탈 수 있다는 거야. 물론 위험하긴 하지만 동남아시아에서 한달 살기를 선택한 언니들... 아마 퇴사를 겸해서 많이 가지 않을까 하는데, 자유를 만끽하기 위한 오토바이 타기를 추천하고 싶어. 차보다 가격이 현저하게 싸서, 1천원 2천원 선이면 왠만한 곳은 이동하기가 쉬울거야. 단점이라면 영어가 90%는 안된다고 생각하는게 좋고, 필수적으로 구글 번역기 써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니까 나는 현지인과 소통을 하는 여행을 하고 싶다는 사람한테는 안 맞을 수 있겠지. * 만약 현지인들과 소통을 원하는 여행객이라면 외국인이면서도 에어비앤비 호스트를 하는 사람을 찾는게 좋을 수도 있고, 내 경험상으로는 에어비앤비 호스트들이 공유경제에 대해서 좋은 인식을 가지고 실현력까지 갖추었다 보니까 좋은 대화상대들을 많이 만났던 것 같네. <싱가폴> 싱가폴도 한국인 상대로 해외취업처로써 굉장히 인기가 많은 곳이기도 하니까 한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데, 사실 이 나라는 마리나베이샌즈로 유명한 호텔을 제외하면은 일주일로 충분한 나라이기 때문에 한달 살면은 너무 일정을 길게 잡은게 아닐까? 라고 생각할 수 있어.. (싱가폴에 3년 살아서 잘 암. 싱가폴에서 버티고 있는 한인들은 주변 각국에 여행다니거나, 이직할 때 높게 임금이 오르는 상승률, 이런 장점 때문에 살고 있지 않을까 싶네). 싱가폴에서 취업을 해보고 싶다/자녀유학 후보지로써 사전 답사차 살아보고 싶다는 이드녀에게 추천하고 싶어. <태국> 위에서도 적었지만 개인적으로 태국은 10번 이상 간 나라라고 적은 만큼, 동남아에서 한달 살아보기에 가장 적합한 나라라고 생각해. 괜히 사람들이 방콕에서 한달살기, 치앙마이에서 한달살기를 많이 하는게 아니다, 라는걸 느낄 수 있어. 사람들한테 인기 있는 이유가 있는 것이지. 태국은 일단 동남아에서 가장 일본 자본이 많이 들어온 나라라고 생각하면 돼. 베트남에서는 삼성 생산거점이 있고, 또 다른 한국 회사에서도 베트남으로 생산시설을 옮기고 있잖아? 같은식으로 그리고 더 긴 역사를 가지고 일본 회사들은 태국에 자신들의 공장들을 많이 세웠어. 그래서인지 태국을 갈 때마다 일본식으로 정갈한 느낌을 많이 받는 것 같아. 마사지 샵들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싸고, 괜찮은 일식집들이며 맛집도 많고, 소소하게 쇼핑하기도 좋았어. 나중에 기회가 되면 글 하나 파서 태국에서 추천하는 맛집/멋집들에 대해서 적어볼게. 그리고 카오산로드를 여행자 거리라고 많이들 가는데, 현지인들은 동네가 위험하다고 잘 안가는 곳이고 실제로도 정신이 하나도 없고 위험하다고 느껴서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아. 왠만하면 방콕의 경우에는 태국 에까마이-통로 지역에 숙소를 잡는게 각종 맛집/멋집들과 가깝고 편리해서 여기에 숙소를 잡으라고 권하고 싶어. 4. 핸드폰 심카드 사서 끼우기, 그랩 어플 다운로드 하기 길게 동남아 각국의 특징에 대해서 적어봤는데, 자기가 살아보고 싶은 곳 선택해서 에어비앤비로 한달치 머물 숙소 예약하기(잘 찾아보면 한달치 예약하면 몇퍼센트정도 할인해주는 곳이 있으니까, 그런 곳을 잘 이용하면 좋을 것 같아)와 비행기티켓 예약하기만 하면 해야할일의 절반 이상은 끝났다고 생각해. 그리고 핸드폰에 인터넷사용하는게 불편하지 않아야 하니까 공항 도착하자마자 공항에 있는 휴대통신사에서 심카드 사서 잘 끼워놓고(한국에서 쓰던 심카드는 여권 앞페이지 같은데다가 테이프로 잘 붙여놓고), 그리고 그랩 어플을 깔도록해. 우버도 원래 사업을 했었는데 동남아에서 철수해서 더이상 예약을 할 수가 없어. 이 어플 개발자에게 상주고 싶을 정도로, 덤탱이 쓸 염러도 현저하게 줄고, 역시 중간에서 관리해주는 플랫폼 업체가 있다 보니까 드라이버가 생각보다 빙빙 돌아서 간 것 같다고 생각했을 때는 커스터머 서비스에 문의해서 돈을 환불받은 경험이 있어. 그리고 험한 일을 당했다고 해도 거래 기록이 남으니까 처벌이 용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지. 그리고 돈은 현금으로 직접 지불할 것인지, 아니면 신용카드로 지불 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는데, 매번 돈을 준비하는게 번거롭기도 하니, 신용카드로 하면 환율이 나빠진다고 하더라도 신용카드로 등록하는걸 추천해. 우버 드라이버들도 본업이 따로 있고 부업으로 하는 드라이버들이 있었던만큼 재밌는 대화상대는 여럿 만났던 것 같네. 호주에 이민가 있는데 본국에 돌아와있는김에 부업 삼아서 한다는 사람이나, 싱가폴에서 대학교수 한다는 사람이나. 그런데 플러팅 하는 사람도 있으니 조심하도록 하고. ---------------- 각자의 목표가 무엇이 되었든간에(해외취업 전에 한달 살아보기이든, 아니면 퇴사를 맞이해서 머리식히기를 위한 여행이든) 안전하고 새로운 경험들로 가득가득 채우는 경험이 되길 바랄게. 개인적으로는 이 모오든 경험들이 인생을 살아가는 방식은 참 여려가지가 있다는 생각에, 스스로에게 좀더 느슨하게 대할 수 있었다는게 좋았어. 궁금한게 있으면 덧글로 알려죠~ * 도움이 되었다면 돈 투척 부탁해요! |
|
글쓴이 돈주기 ![]() |
달라줌 | ||
*****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 달라줘서 고마웡. 달라 많이 투척해주신 소장님도 감사해요 >< | ||
ji*****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딸라줌 | ||
re*****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계속 업데이트 부탁해~ 돈줬다 | ||
sh***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굿♡♡♡ | ||
******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이드 추천글 수준이 높아진거 같다 | ||
bl******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bi > 사실 글 칭찬 받을 때가 제일 좋아. 고마워! | ||
ji***** | 2019-07-06 | |
답글쓴이 돈주기 ![]() |
||
좋은글감사 | ||
10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글을 잘쓴다 | ||
yh******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대만은 어때? | ||
ak****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 대만은 아직 가본적이 없네. 대만도 대표적인 친일 나라라서, 일본적인 아기자기함이 좋은 나라라고 들었어. 일하는건 월급이 낮아서 다들 비추하는 의견이지만 한달 살아보기로는 나쁘지 않을것 같네. | ||
ji*****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
||
태국 치안은 어때? | ||
re*****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동남아 국가들이 그러하듯이(싱가폴 제외) 태국이 백프로 안전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왜냐하면 태국은 총기보유가 가능함.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대비했을 땐 안전하다고 느꼈어. 밤문화 유흥이 발달한 특정 지역에 밤에 안가는것만 조심하면 될거라고 생각해. 태국 현지인들이 차린 카페 같은데 가보면 굉장히 세련되었다고 느낄거야. | ||
ji*****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감샤~!!! | ||
ha*********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방콕 1주일 놀러갈건데 가볼곳 많아? 싱가폴 5일은 좀 지루했어서... |
||
im*****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 싱가폴은 인공도시 느낌이 많아서 위에 글에도 썼지만 일주일이면 충분하지.. 방콕은 돈쓰는 맛도 그런대로 있고 이것저것 할건많아. 전통의상 입고 사진찍기, 짜뚜짝 시장에 가서 쇼핑하기, 왕궁가기 등등 무궁무진하다고 본다. | ||
ji***** | 2019-07-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섹스하기는 베트남이랑 태국중 어디가 더 좋아?? | ||
js**** | 2019-09-20 | |
답글쓴이 돈주기 ![]() |
||
오와 딸라줌 | ||
ca******* | 2019-10-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
우와! 언니 혹시 인도네시아는 어때? 나 발리에서 살아보고 싶어서 |
||
the | 2020-02-07 | |
답글쓴이 돈주기 ![]() |
사업자번호: 783-81-0003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서초-0851
서울 서초구 청계산로 193 메트하임 512호
(주) 이드페이퍼 | 대표자: 이종운 | 070-8648-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