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 처음으로 글을 쓰다.

유서가 뭔지 몰랐다. 그저 방 책상 위에 동그라니 놓여있는 흰 종이 위에 크게 써져 있었다. 미안해 내 딸.. 그렇지만 엄마가 없는 편이 나을거야. 동네가 떠들썩했다. 빌라 계단 위 천장에 불빛이 빤짝거렸다. 오르락 내리락.

나는 할머니가 키우게 되었다.

 

동그랗게 모인 너의 작은 손가락.

 

손 등. 손 발.

 

내가 불쌍하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엄마가 왜 그렇게 갈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의문 같은 것도 잊어버렸다.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뛰어놀고 있을 때 그 애들이 보는 풍경의 색은 나와 다를까?

그 애들이 뜀박질 하고 있다는 것과 나는 그걸 바라보고 있다는 차이.

누군가를 기다릴 수 없고 끝이 아득하게만 보였다.

누군가에겐 분명할 도착점이 나에게는 흐릿해서 어디로 방향을 잡아야 할지 멍하니 있는 날이 많았다.

떠들썩한 것을 동경하면서도 막상 곁에 서면 입이 말랐다.

바짝바짝 타들어가는 속이 내 눈에만 보였다.

 

분홍색으로 칠해야 했다.

차오르는 슬픔 마저 따뜻하게 감싸줄 것 같은 그 색으로.

 

모두가 슬펐을 거라고, 가만히 나를 들여다보는 분노가 말했다.

분홍색을 보면 마음이 편해졌다.

 

나는 애초에 착한 사람도, 못된 사람도 될 수 없는 사람인데

분노를 누르기 위한 분홍색이 나를 자꾸 착하게 덧칠했다.

그런 내가 싫어 나에게 욕을 한 아이가 생겼다.

그 아이는 껌을 씹고 교정장치를 낀 아이였는데

나를 바라보는 눈 속에 슬픔이 깃들어 있었다.

그 말을 하자 니 눈에는 분노가 보인다고 했다.

 

어찌할 수 없는 막다른 길목에 막혀있는데

살인마가 쫓아오는 꿈을 자주 꿨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건 나인 것 같다.

자꾸 착해지는 나에게 칼을 쥐어줄 수 없었기에

내가 분장을 하고 나를 쫓아온 것 같다.

과장된 분노, 억눌린 슬픔.

그 사이에서 역시 나는 도착점을 보지 못한다.

 

20대가 된 지금도 내면을 조율하지 못한 채 살아왔다.

새벽에 문득 깨어 잘 조율되지 못한 쇳소리가 귀에 윙윙 울린다.

나는 꼼짝없이 관 속에 들어가 그 시간을 견디다

흙이 들어차면 또 다시 죽은 내가 걸어나와 화장실을 간다.

정수기로 냉수와 온수를 섞어 마시고, 별 것 아닌거야. 라고

생각한다. 죽고 싶지 않아, 라고도 생각한다.

 

시를 보면 왜 항상 끝이 어두운지.

내 안의 분홍색이 꿈틀거렸다.

이게 아닐 수도 있잖아, 다른 결말일 수 있잖아

그렇게 버둥거릴 수록 끝도 없는 구멍이 나를 끌어당겼다.

슬픔은 구멍, 버둥거림은 분노.

아예 다른 세계가 있다는 걸 알고있는데

슬퍼하지 않고 버둥거리지 않고 잘 살 수 있는데.

자꾸만 구멍을 들여다보는 나는 진실이라는 강박에 목이 메여 있다.

엄마와 똑같은 방식으로, 목을 메어 죽어 있다.

작품 등록일 : 2019-09-29
문학이네
to****   
맨 아래에서 두번째줄
viank...   
좀 무서운데 대단하네
do******   
왜이렇게 나까지 너무 오래 슬퍼지냐
위니트   
와..글 정말 좋다!
me*****   
나도 목이 메이네
아침 잠이...   
어 공감함 자꾸 안착한데 착해지는거랑 그밖에 다
뭏낙   
잘 썼음.
관리자   

사업자번호: 783-81-00031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3-서울서초-0851

서울 서초구 청계산로 193 메트하임 512호

문의: idpaper.kr@gmail.com

도움말 페이지 | 개인정보취급방침 및 이용약관

(주) 이드페이퍼 | 대표자: 이종운 | 070-8648-1433